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BMI 정상범위 / BMI지수 계산법

by 건강맨 2022. 1. 16.
반응형

 

안녕하세요. BMI 정상범위 및 BMI지수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대인들이 달고사는 최고의 과제는 다이어트가 아닐까 싶습니다. 그만큼 건강에 신경쓰는 사람도 많고 흔히 일상에서 먹을 거 때문에 살이 많이 찌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BMI 정상범위와 지수계산법은 어떻게 하는 걸까요?

 

반응형

BMI란?

보통 체중과 비만을 구분하기 위해 계산하는 방법으로 신체에 질량지수를 근거로 판단하는 계산법입니다.

비만인지 아닌지를 BMI 지수를 통해서 알아보는 방법이 있는데요, 이제 막 다이어트를 시작했거나 다이어트가 필요하다고 생각이 된다면 BMI 정상범위를 알고 BMI지수 계산법을 통해 BMI 지수를 계산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BMI 정상범위에 대해 먼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BMI 정상범위
0 ~ 18.5 저체중
18.5 ~ 23 정상
23 ~ 25 과체중
25 ~ 30 경도비만
30 ~ 중등비만

 

위 표에 나와 있는 것처럼 BMI 지수에 따라 저체중, 정상 과체중, 경도비만, 중등비만으로 나뉘게 됩니다.

이 BMI 지수의 경우에는 BMI 계산기를 통해서 계산하실 수가 있는데 신장과 체중만 입력하면 BMI 정상지수를 바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위 사진과 같이 자신의 키, 몸무게를 넣고 계산하기를 누르게 되면 오른쪽에 BMI(신체질량지수)가 나오게 됩니다.

해당 숫자에 따라 저체중~정상~비만에 해당하는 것을 보실 수 있으실텐데요, 과체중만 되도 살짝 비만에 가까운 단계인만큼 식단이나 운동을 통해 관리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BMI 계산기를 통해서 비만도를 계산을 했다면 복부비만도 측정도 해보실 수 있습니다.

복부비만도 측정을 위해서는 허리둘레, 엉덩이둘레를 입력하여야 합니다.

 

 

위 사진은 임의대로 입력을 해보았습니다.

BMI 계산과 다르게 위험수준낮음, 정상, 위험수준높음 이렇게 3가지로만 되어 있습니다. 위험수준이 높게 나온다면 복부비만이므로 다이어트가 필요할듯 싶습니다.

 

복부비만도
0 ~ 위험수준낮음
~ 0.95 정상
0.95 ~ 위험수준높음

 

 

매년 결심하는 다이어트가 참 힘듭니다. 그래도 건강을 위해서 BMI 정상범위를 꼭 알아두시고 만약 과체중 이상이라면 조금 위험할 수 있으니 식단이나 운동을 통해서 관리를 하는 것이 좋을 거 같습니다.

지금까지 BMI 정상범위 및 BMI지수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